독도문제로 불거진 한·일간 갈등이 위안부 문제로 옮겨가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와 시민단체는 "위안부 강제동원 증거가 없다"는 노다 요시히코 총리의 발언을 비판하며 반격에 나섰습니다.
구동회 기자입니다.
[기자]
일본의 잇따른 위안부 관련 망언에 우리 정부가 강한 유감의 뜻을 나타냈습니다.
노다 요시히코 일본총리가 "위안부 강제동원은 없었으며 한일협정 때 해결된 문제"라고 주장한 것과 아베 신조 전 총리가 위안부 강제연행을 인정한 고노담화를 수정하겠다고 발언한 것을 반박한 조치입니다.
외교부는 위안부 문제를 유엔총회에 다시 제기할 수 있다며 포문을 열었습니다.
[조태영/외교부 대변인 : 일본의 책임있는 지도자들이 중대범죄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동원의 강제성을 부정하는 발언을 하는 건 과거 일본정부의 사과와 반성을 무효화하는 행위로 밖에 볼 수 없습니다….(유엔총회에) 우리가 이 문제를 제기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습니다.]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도 일본 정부에 위안부 문제 공식 사죄와 피해배상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습니다.
시민단체도 일본의 위안부 망언에 대한 비판을 쏟아냈습니다.
[윤명숙/강원대 강사 : (노다 총리가 얘기한 강제연행) 근거가 있냐고 따지는 것은 문제를 올바로 보려는 것이 아니라 트집을 잡는거라고 할까요. 식민지 체제라고 하는 본질을 떨어뜨려 놓고는 이 문제를 풀어나갈 수 없습니다.]
역사문제연구소 등 10개 시민단체와 전문가 163명은 한국과 일본 지식인 1천명 이상의 서명을 받아 일본 국회에 위안부 문제 해결을 청원할 계획입니다.
구동회 정치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