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위안부' 문제 언론 자료 창고/2012.1.~2012.12.

위안부로 옮겨붙은 한일갈등 ...(JTBC)

윤명숙 2012. 8. 28. 00:45

기사 중에 동영상이 있는데, 이곳에선 볼 수 없는 모양이다. 보실 분은 직접 가 보시길 http://news.jtbc.co.kr/html/775/NB10159775.html

윤명숙 발언 중에 나오는, '식민지 체제'라는 건 용어사용이 좀 누락되어 있네요. 설명한 부분이 잘려나가서, 좀더 정확히 설명하면, 일본 제국주의애 의한 식민지 지배체제하에서 일어난 동원형태이기 때문에, 제국 일본에 의한 식민지배의 실태, 나아가 본질을 짚지 않으면 안된다는 내용입니다. 

위안부로 옮겨붙은 한일갈등 "유엔총회서 다시 제기할수도"

[JTBC] 입력 2012-08-28 19:54

[앵커]

독도문제로 불거진 한·일간 갈등이 위안부 문제로 옮겨가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와 시민단체는 "위안부 강제동원 증거가 없다"는 노다 요시히코 총리의 발언을 비판하며 반격에 나섰습니다.

구동회 기자입니다.


[기자]

일본의 잇따른 위안부 관련 망언에 우리 정부가 강한 유감의 뜻을 나타냈습니다.

노다 요시히코 일본총리가 "위안부 강제동원은 없었으며 한일협정 때 해결된 문제"라고 주장한 것과 아베 신조 전 총리가 위안부 강제연행을 인정한 고노담화를 수정하겠다고 발언한 것을 반박한 조치입니다.

 외교부는 위안부 문제를 유엔총회에 다시 제기할 수 있다며 포문을 열었습니다.

[조태영/외교부 대변인 : 일본의 책임있는 지도자들이 중대범죄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동원의 강제성을 부정하는 발언을 하는 건 과거 일본정부의 사과와 반성을 무효화하는 행위로 밖에 볼 수 없습니다….(유엔총회에) 우리가 이 문제를 제기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습니다.]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도 일본 정부에 위안부 문제 공식 사죄와 피해배상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습니다.

시민단체도 일본의 위안부 망언에 대한 비판을 쏟아냈습니다.

[윤명숙/강원대 강사 : (노다 총리가 얘기한 강제연행) 근거가 있냐고 따지는 것은 문제를 올바로 보려는 것이 아니라 트집을 잡는거라고 할까요. 식민지 체제라고 하는 본질을 떨어뜨려 놓고는 이 문제를 풀어나갈 수 없습니다.]

역사문제연구소 등 10개 시민단체와 전문가 163명은 한국과 일본 지식인 1천명 이상의 서명을 받아 일본 국회에 위안부 문제 해결을 청원할 계획입니다.

 

구동회 정치부 기자

 

http://news.jtbc.co.kr/html/775/NB10159775.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