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아사히, 노다 비판(동아)

윤명숙 2012. 9. 1. 17:38

 

입력 : 2012.09.01 01:02

아사히, 노다 비판

  • 도쿄=차학봉 특파원
  • 일본 유력 언론인 아사히(朝日)신문이 31일 사설을 통해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총리에게 “오해를 부를 발언을 피하고, 고노 담화의 계승을 다시 내외에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고노(河野) 담화는 1993년 일본 정부가 일본군위안부의 강제 동원을 인정하고 사죄한 담화이다. 노다 총리는 최근 국회 답변에서 고노 담화를 계승하겠다면서도 “일본군위안부가 강제 동원됐다는 문서도, 옛 일본군의 증언도 없다”고 발언했다.

    아사히는 고노 담화의 수정을 요구한 마쓰바라 진(松原仁) 국가공안위원장과 아베 신조(安倍晉三) 전 총리에 대해서는 “나뭇가지만 보고 나무를 보지 못하는 태도”라고 비판하면서 “많은 여성이 심신의 자유를 침해당하고, 명예와 존엄성이 짓밟혔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라고 밝혔다. 아사히는 “이번뿐만 아니라 일본의 일부 정치가는 정부의 견해(고노 담화)를 부정하는 발언을 반복해 왔다”며 “이래서는 총리가 아무리 사죄해도 진정성을 의심받을 수밖에 없다”고도 했다.

    이 신문은 2007년 아베 신조 전 총리가 군 위안부의 강제 연행을 부정하는 발언과 관련, “미 하원과 유럽의회는 위안부 문제를 ‘20세기 최악의 인신매매 사건의 하나’로 규정하고 일본 정부에 사죄 요구를 결의한 바 있다”면서 “이는 스스로 역사의 잘못에 제대로 대처하지 않는 일본의 정치에 대한 국제사회의 경종”이라고 강조했다. 이 신문은 “고노 담화에 따라 일본정부 주도로 관민합동의 아시아여성기금을 설립, 일본군위안부 출신 여성들에게 보상금과 함께 역대 총리의 사죄 편지를 전달하는 등 일본 정부가 노력한 사실을 한국인들이 거의 알지 못하는 것은 유감”이라고도 했다. 아시아 여성기금은 1995년에 만들어졌다. 한국은 그러나 공식 사죄와 정부 보상을 요구하며 이 기금의 수령을 거부했었다.

    한편 마이니치(每日)신문도 “아베 전 총리가 군 위안부의 존재를 부정하는 발언을 한 것은 보수연대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면서 “군 위안부 문제를 정치적 도구로 활용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9/01/2012090100148.html?outlink=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