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 광복 이후 /베트남

(책 소개)전쟁의 기억 냉전의 구술

윤명숙 2008. 6. 24. 20:22

 

"국어교과서 이념에 결박"

김동환 한성대 교수 주장

(서울=연합뉴스) 송광호 기자 = 한국의 국어교과서가 전쟁의 상처를 치유, 극복하는 문제보다는 이념에 치중하면서 전후세대 학생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동환 한성대 한국어문학부 교수는 최근 출간된 '전쟁의 기억, 냉전의 구술'(선인출판사)에 수록된 '한국전쟁, 국어교육, 국어교과서'라는 논문에서 이같이 말했다.

김 교수는 "해방 후 친일인사가 교과서 편찬방향에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1948년 국가보안법이 제정되면서 국어교과서에서도 반공문제가 부각됐다"면서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반공교육이 학교에서 가장 기본적인 교육틀로 자리 잡았고, 이로 인해 전후세대는 전쟁의 상처를 극복하기보다는 이념에 포박됐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지난 2006년 두 차례에 걸쳐 대학 1-3년생들을 상대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그 근거로 들면서 학생들은 한국전쟁을 '김일성의 정책과 그것을 저지하려는 이승만 정부의 정책', '좌ㆍ우익의 다툼으로 일어난 전쟁' 등 냉전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었다고 부연했다.

김 교수는 "문제는 최근까지도 반공이데올로기가 교과서에 자리잡고 있다는 것"이라며 "이는 학생들의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대안으로 "학생들에게 전쟁의 배경과 결과뿐 아니라 그 속에서 살았던 사람들의 선택과 삶의 굴곡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르포, 소설 등을 교과서에 실어 학생들이 이를 많이 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책에서 김귀옥 한성대 교양학부 교수는 인천시 강화군 교동면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에서 어떻게 반공이데올로기가 형성되는지를 고찰했고, 강우성 한성대 영문과 교수는 한국전에 참전한 미국인들이 그들의 전쟁경험과 인종주의를 어떻게 연결하고 있는지를 논했다.

이밖에 윤충로 한성대 전쟁과평화연구소 연구교수는 전쟁의 피해자인 참전군인이 왜 보수세력의 지원자가 되었는지를, 이임하 한성대 전쟁과평화연구소 연구교수는 상이군인들의 보수화에 보훈제도가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조명했다.

buff27@yna.co.kr

<연합뉴스 긴급속보를 SMS로! SKT 사용자는 무료 체험!>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2142832

목차

서문
1부 한국 구술사 연구 현황,쟁점과 과제_김귀옥
1.들어가며
2.구술사의 정의와 몇 가지 쟁점
3.한국 구술사 연구 현황
4.맺음말:구술사 아카이브즈 구축을 제안하며

2부 한국전쟁가 이데올로기
1.전쟁과 분단의 일상화와 기억의 정치
-'월남'가족과 '월북'가족 자녀들의 구술을 중심으로_조은
1.들어가며
2.월남가족과 월북가족:말하기와 침묵하기
3.월남가족과 월북가족 자녀:비대칭적 기억의 정치
4.맺음말
2.지역 사회에서 반공이데올로기 정립을 둘러싼 미시적 고찰
-해방 전후~1950년대 인천시 강화군 교동면의 사례_김귀옥
1.들어가며:교동에서 분단고 냉전의 한반도를 보다
2.한국전쟁과 지역연구,구술사 방법론과의 만남
3.1950년대 전후 교동 지역 사회의 모습
4.구술 속에 재현된 교동 공간의 중심지 이동
5.맺음말:전후 냉전 시대 지역의 재편고 반공이데올로기의 내면화

3.상이군인들의 한국전쟁 기억_이임하
1.들어가며
2.연구대상
3.상이군인(참전군인)의 전쟁 기억
4.상이군인과 군사원호법
5.맺음말

3부 한국전쟁과 이데올로기 문화 재생산
1.한국전쟁,국어교육,국어교과서_김동환
1.전쟁의 그림자와 교과서의 그늘
2.국어 교과서 편찬의 지배적 관여요소로서의 통치 이데올로기
3.한국전쟁의 간접화와 국어 교과서
4.전쟁의 소설적 형상화 방식의 검토
5.기대 지평
2.억압된 인종 공포:미국문화와 이데올로기로서의 한국전쟁_강우성
1.미국인들에게 한국전쟁은 무엇이었나?
2.무엇이 어떻게 기억되고 망각되는가?
3.포로로 잡힌 한국전쟁
4.인종혐오 이데올로기로서의 한국전쟁
5.미국문화와 한국전쟁의 현재성

4부 베트남 전쟁과 이데올로기
1.전쟁경험과 집단기억의 동원
-베트남 참전용사 단체를 중심으로_이태주
1.들어가며
2.베트남 참전용사 단체의 형성과 이합집단의 과정
3.전쟁 경험의 햇거과 집단기억의 동원
4.결론:명예와 보상 사이에서
2.베트남 전쟁 참전군인의 집합적 정체성 형성과 지배이데올로기의 재생산_윤충로
1.들어가며
2.연구방법론과 자료
3.전쟁이 참전군인의 집합적 정체성 형성과 이데올로기 지형에 미친 영향
4.전쟁의 기억과 전후(戰後) 참전군인의 집합적 정체성 형성과정
5.참전군인의 동원과 아래로부터의 지배이데올로기 재생산
6.맺음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