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요미우리 "'위안부 인정' 고노담화 대체할 새 담화 발표해야"
일본 요미우리 "'위안부 인정' 고노담화 대체할 새 담화 발표해야"
경향신문 디지털뉴스팀 입력 2014.08.27 10:43
일본에서 발행 부수가 가장 많은 보수성향의 요미우리신문이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한 고노담화를 대체하는 새 담화를 발표하라고 일본 정부에 촉구했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요미우리신문은 27일 '역사에 근거해 새로운 장관 담화를'이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내년이 전후 70주년인 만큼 새로운 담화를 발표하는 것이 "국내외에 정확한 역사를 전한다"는 의의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 신문은 2차 대전 때 일본군이 많은 위안부를 "성노예로서 강제연행"했다는 것이 "오해"라고 규정하고, 이런 인식이 국제사회에 퍼진 원인 가운데 하나가 고노담화라고 주장했다.
요미우리신문은 강제연행을 뒷받침할 자료는 확인되지 않았고 고노담화 작성 과정에서 한국과 일본 정부가 표현을 두고 조율했다는 것이 최근 검증에서 드러났다며 새 담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아사히신문이 전쟁 중 제주도에서 마치 사냥하듯이 여성을 잡아갔다는 일본인 요시다 세이지(·사망)의 주장을 토대로 한 과거 기사를 최근 취소한 것을 거론하며 일련의 보도가 한국의 반일 여론을 자극한 것도 고노담화 발표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다.
요미우리신문은 아베 총리가 고노담화를 수정할 뜻이 없다고 밝힌 것이 한일 관계의 악화를 우려한 "대국적 판단"이라고 평가하고 사실에 기반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한 정보를 세계에 전하자고 촉구했다.
고노담화는 1993년 8월4일 고노 요헤이 당시 관방장관이 발표한 정부 견해로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하고 이를 역사의 교훈으로 직시하겠다는 다짐을 담고 있다.
일본 우익세력은 아사히신문이 최근 기사를 취소한 것을 빌미로 고노담화의 근거가 없어진 것처럼 주장하고 있으나 정작 고노담화에는 "강제연행"이라는 표현이 등장하지 않는다.
고노담화는 "위안부의 모집에 관해서는 군의 요청을 받은 업자가 주로 이를 맡았으나 그런 경우에도 감언, 강압에 의하는 등 본인들의 의사에 반해 모집된 사례가 많았으며 더욱이 관헌 등이 직접 이에 가담한 적도 있었다"고 표현하고 있다.
요미우리신문의 이날 사설은 고노담화 수정·폐기를 시도하는 보수·우익 세력의 최근 움직임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디지털뉴스팀>
慰安婦問題 史実踏まえて新長官談話を
戦後70年に向けた「河野談話」の事実上の見直し要請である。
自民党政務調査会は、いわゆる従軍慰安婦問題に関する新たな内閣官房長官談話の発表を求める申し入れ書を、菅官房長官に提出した。
第2次大戦中に日本軍が多くの慰安婦を「性奴隷」として強制連行したとの誤解が、国際社会に広がっている。その要因の一つが河野談話である。
菅氏は新談話に消極的だというが、自民党の要請を重く受け止め、前向きに検討すべきだ。
河野談話は、宮沢内閣時代の1993年に元慰安婦へのおわびと反省の意を表したものだ。慰安婦募集について「官憲等が直接これに加担したこともあった」と、軍などによる強制連行があったかのように記している。
しかし、強制連行を裏付ける資料は確認されていない。
有識者による政府の検討会は6月、河野談話の作成過程に関する報告書をまとめた。韓国側が「韓国国民から評価を受け得るものでなければならない」と修正を求めるなど、日韓両政府が表現を調整した実態が明らかになった。
これを踏まえ、申し入れ書は、「検証作業を経ずに『政治的すり合わせの産物』としての談話を世界に発出した」と批判した。「当時の自民党政権の責任は重い」と指摘したのは、もっともだ。
申し入れ書は、「事実に基づかない虚偽を繰り返し
朝日新聞は、82年以降、韓国・済州島で戦時中に多くの慰安婦を「狩り出した」などとする吉田清治氏の虚偽の証言を、繰り返し記事にした。
今月5日の紙面で、ようやく吉田証言に関する記事を取り消したものの、一連の報道が韓国の反日世論をかき立て、河野談話の伏線となったことは間違いない。
安倍首相は、河野談話を継承する方針を明らかにしている。日韓関係のこれ以上の悪化などを憂慮しての大局的判断なのだろう。
だが、戦後70年と日韓国交正常化50年の節目となる来年に向け、新談話の発表は、国内外に正しい歴史を伝える上で意義がある。
強制連行はなかったにせよ、戦時中に多数の女性の名誉と尊厳が傷つけられたことも事実だ。
自民党が提言しているように、史実に基づいた慰安婦問題の情報を世界に発信していきた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