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위안부' 문제 언론 자료 창고/2013.1.~2013.12

교학사 교과서 위안부 서술, 혼란 일으킨다면 수정 가능

윤명숙 2013. 9. 5. 00:37

“교학사 교과서 위안부 서술, 혼란 일으킨다면 수정 가능”

송현숙 기자 song@kyunghyang.com
 
ㆍ저자 이명희 교수 밝혀

우편향 서술로 논란을 빚고 있는 교학사의 한국사 교과서 저자인 이명희 교수(공주대·사진)가 일본군 위안부 서술에 대해 수정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 교수는 3일 경향신문과의 통화에서 교학사 교과서의 서술로는 일본군 위안부가 1944년부터 동원된 것으로 잘못 읽힐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역사교과서는 학자들만이 아닌, 국민들의 문제도 된다”면서 “국사편찬위원회나 교육부 등이 주최한 공청회나 공개토론회에서 다양한 논의를 거쳐 혼란이 될 부분이 있다면 시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

“공식적인 토론회를 거쳐 학생들에게 혼란을 줄 가능성이 있을 경우”라는 단서를 달았지만, 교학사 교과서의 위안부 서술이 혼란을 줄 수 있다는 점을 간접적으로 인정한 셈이다. 이 교수는 “교과서에서 혼란을 줄 수 있는 부분이 있다면 당연히 수정해야 하는 것 아니냐. 모든 필자들이 그런 자세는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교학사 교과서는 “일제는 1944년 여자정신근로령을 발표하고 12세에서 40세까지의 여성들을 침략전쟁에 동원하였다. 동원된 여성들은 일본과 한국의 군수공장에서 일하였다. 일부 여성들은 중국·동남아 일대·필리핀 등지로 끌려가 일본군 위안부로 희생당하였다”고 기술하고 있다. 이는 1930년대부터 전국에서 마구잡이로 이뤄진 위안부 강제동원이 1944년 여자정신근로령 발표 이후에 시작됐으며, 군수공장에서 일하던 일부 여성들에게 벌어진 사건처럼 오해를 낳을 수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경향신문의 ‘교학사 교과서 위안부 축소·왜곡’ 보도(9월2일 1·2면)에 대해 윤미향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대표는 지난 2일 “향후 교학사 교과서 내용을 면밀히 분석한 후 검정 철회와 정부의 위안부 정책 재점검, 왜곡 교과서 사용을 막는 대국민 캠페인 등을 펼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현행 검정제도에선 최종검정이 결정됐더라도 언제든지 고칠 수 있다”며 “특히 현재는 교과서가 학생들에게 배포되기도 전이기 때문에 얼마든지 수정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수학·과학·경제·역사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교과서 검정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교과용 도서에 관한 규정(대통령령)상, 최종합격본 발표 시점에 교과서의 모습은 완전 확정되는 것으로 이후엔 교과서를 고칠 수 없다”고 밝혔다. 김정인 춘천교대 교수는 “교학사 교과서에는 위안부 문제뿐 아니라 친일 관련이나 5·16, 4·19 등에 대한 기술에서도 문제되는 부분이 한두 가지가 아닌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학생들이 혼란을 느끼지 않게끔 수정한다면 상당한 수정 사항이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