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위안부' 문제 언론 자료 창고/2013.1.~2013.12

일본군위안부 문제 일지(연합)

윤명숙 2013. 8. 3. 16:22

<일본군 위안부 문제 일지>

(도쿄=연합뉴스) 다음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발생과 전개 과정을 담은 일지.

▲1990년 1월 = 윤정옥 교수의 '정신대 취재기' 한국 언론에 연재

▲1991년 8월 14일 = 한국인 피해자 김학순씨, 첫 위안부 증언 기자회견

▲1991년 12월 8일 = 김학순씨 등 위안부 피해자 3명 일본 정부 제소(이후 2004년 최고재판소서 원고 패소 확정)

▲1992년 1월 8일 = 위안부 피해자들, 일본 대사관 앞 정기 수요시위 시작

▲1992년 1월 11일 = 아사히신문 '일본군 위안소 설치·통제 등에 관여한 사실 증명 자료 발견' 보도

▲1992년 1월 14일 = 미야자와 일본 총리, 방한 전 회견에서 위안부 문제 사죄

▲1992년 2월 25일 = 한국 정부, 위안부 피해자 신고센터 설치

▲1992년 7월 6일 = 일본 정부 1차 위안부 실태 조사결과 발표. 가토 고이치 관방장관 "위안소의 설치나 운영·감독 등에 정부 관여" 인정

▲1993년 3월 = 정부, 위안부 피해자 생활안정 지원금과 영구 임대주택 우선 입주권 지급

▲1993년 8월 4일 = 일본 정부 2차 조사결과와 함께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 등을 인정한 '고노 관방장관 담화' 발표

▲1994년 = 94년도판 고교일본사 교과서에 '위안부' 기술

▲1994년 8월 31일 = 무라야마 총리, 위안부 사죄 담화

▲1995년 7월 19일 = 일본 '여성을 위한 아시아평화국민기금' 발족. 한국 정대협 등 43개 단체, 기금 발족 반대 성명

▲1996년 4월 = 유엔 인권위원회 '전쟁 중 군대 성노예 문제 조사보고서' 수용 결의(일본 정부의 법적 책임과 보상 촉구)

▲1996년 6월 = 일본 문부성, 위안부 문제 기술한 중학교 7개 교과서 검정 승인

▲1997년 1월 30일 = 일본 '새역모' 설립 총회. 위안부 기술 등 삭제 요구

▲2000년 4월 = 일본 민주당 '전시 성적 강제피해자 문제의 해결 촉진에 관한 법률안'(모토오카 법안) 제출(통과 안됨)

▲2000년 12월 = 도쿄 일본군 성노예 전범 국제 여성법정, 히로히토 일왕과 일본 정부에 유죄 판결

▲2001년 4월 3일 = '새역모' 교과서, 일본 문부과학성 검정 통과

▲2006년 = 2006년도판 일본 중학교 교과서 본문에서 '위안부' 기술 사라짐

▲2007년 3월 = 아시아여성평화기금 해산.

▲2007년 7월 30일 = 미국 하원 본회의, 일본정부에 위안부 문제 책임 인정 및 공식 사죄 요구하는 결의 채택

▲2011년 8월 30일 = 헌재, "정부가 위안부 피해자 청구권 분쟁을 해결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는 건 위헌" 결정

▲2011년 9월 = 외교통상부, 일본에 위안부 배상청구권 문제 외교협의 요청

▲2011년 12월 14일 = 위안부 피해자 1천번째 수요시위, 주한 일본대사관 앞 위안부 평화비 설치

▲2011년 12월 18일 = 이명박 대통령, 한일 정상회담서 위안부 문제 집중 거론

▲2012년 3월1일 = 이 대통령, 3.1절 기념식서 위안부 문제 언급

▲2012년 8월 21,24일 = 하시모토 오사카시장 "강제연행을 문제삼으려면 증거를 보여라" "고노담화가 한일관계를 망친 최대 원흉" 발언

▲2012년 12월 27일 = 스가 관방장관 '고노담화 수정' 언급

▲2013년 1월 6일 = 미 정부 고위 관계자 '고노담화 수정하면 미국 정부 차원에서 대응한다'고 일본 정부에 통고

▲2013년 1월 29일 = 미 뉴욕주 상원, 위안부 결의 채택

▲2013년 2월 7일 = 아베 총리, 국회서 "사람 납치같은 강제를 보여주는 증거가 없다" 발언

▲2013년 5월 13일 = 하시모토 시장 "위안부 제도는 당시에 필요했다" 발언

▲2013년 7월 30일 = 미국 캘리포니아주 글렌데일시에 '위안부 소녀상' 제막

yskim@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2013/08/03 12:00 송고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3/08/03/0200000000AKR20130803029200073.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