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위안부' 문제 언론 자료 창고/2013.1.~2013.12

20년 전 '고노담화' 어떻게 나왔나(연합)

윤명숙 2013. 8. 3. 16:20

<20년 전 '고노담화' 어떻게 나왔나>

생전인 1991년 8월 자신이 위안부 피해자였음을 증언하는 고 김학순 할머니(연합뉴스.자료사진)

(도쿄=연합뉴스) 김용수 특파원 = 일본 정부의 '고노담화'가 나오게 된 배경은 1990년대 초 한국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 당사자들이 평생의 침묵을 깨고 자신들의 한맺힌 이야기를 직접 고발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1991년 8월 위안부 피해자 김학순 할머니(97년 작고)의 공개 증언 회견이 그 도화선이었다.

그해 12월 김학순씨 등 위안부 피해자 3명을 포함한 일제 강제연행 피해자 35명이 일본 정부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했고 이듬해인 92년 1월부터 위안부 피해자들의 일본대사관앞 수요집회가 시작됐다.

이를 전후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 진상 규명 등을 요구하는 여론이 비등해져 일본 국내에서도 야당 국회의원들이 이 문제를 국회에서 따지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 때만 해도 일본 정부는 위안부 모집은 민간 업자들이 한 것이라는 발뺌 등으로 일관했다.

그러다가 요시미 요시아키(吉見義明) 주오(中央)대 교수가 방위청 도서관에서 일본군의 위안소 설치·모집 통제에 관여한 사실을 보여주는 자료를 발견, 미야자와 기이치(宮澤喜一) 당시 총리의 방한 직전인 1992년 1월11일 이 자료가 아사히 신문에 보도되자 일본 정부가 방향을 틀었다.

이틀 후 가토 고이치(加藤紘一) 관방장관이 "군의 관여를 부정할 수 없다"는 담화를 발표한 데 이어 한국을 방문한 미야자와 총리가 노태우 당시 대통령에게 위안부 문제에 대해 공식 사죄했다.

한국 정부도 2월부터 위안부 피해자 신고센터를 설치, 피해 신고접수와 생존자 증언 확보에 착수했다.

이를 계기로 한국뿐만 아니라 필리핀, 북한, 중국, 네덜란드 등에서도 위안부 피해자들의 고발 증언이 잇따르고 사죄와 배상을 요구하는 소송 제기로 이어졌다.

일본 정부의 위안부 문제 1차 조사 결과가 나온 것은 1992년 7월6일.

가토 관방장관이 '위안소 설치나 운영·감독 등에 정부가 관여했다'고 일본군의 직접 관여를 인정하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하지만 위안부 강제연행을 입증하는 자료는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혀 한국 등이 강하게 반발했다. 한국에서는 '사실은폐' '가토망언'이라는 이야기까지 나왔다.

그러자 일본 정부가 2차 진상 조사에 착수했다. 당시 관계자들에 따르면 조사 대상기관을 1차때보다 확대해 경찰청, 법무성, 외무성, 국회도서관은 물론 해외에까지 담당자를 파견해 미국 공문서 등을 조사했다.

정부기관뿐만 아니라 조선총독부 전 관계자, 위안소 전 경영자, 위안소 부근 거주자, 역사 연구가 등 100여명에 대한 조사도 진행했다. 1993년 7월26일∼30일에는 일본 정부조사단이 서울에 파견돼 한국인 위안부 생존자 16명을 상대로 증언 청취 작업을 벌였다.

이 조사작업이 끝난 지 5일후인 8월4일 고노 요헤이(河野洋平) 당시 관방장관이 2차 조사결과를 공개하면서 발표한 게 바로 '고노담화'다.

당시 일본 정부가 고노담화를 통해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하게 된 것은 조사 막판에 이루어진 이들 한국인 피해자의 증언 내용이 결정적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16명 가운데 20년이 지난 지금 생존해 있는 사람은 2명밖에 없다.

yskim@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2013/08/03 12:00 송고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3/08/03/0200000000AKR20130803026700073.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