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위안부' 문제 언론 자료 창고/2012.1.~2012.12.

김성환 외교, 유엔 총회 연설에서 위안부 문제 제기 검토중(경향)

윤명숙 2012. 8. 31. 17:19

김성환 외교, 유엔 총회 연설에서 위안부 문제 제기 검토중

손제민 기자 jeje17@kyunghyang.com    입력 : 2012-08-31 14:57:42수정 : 2012-08-31 21:03:01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뉴욕에서 9월18일부터 열리는 제67차 유엔 총회 국별 대표 기조연설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제기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외교통상부 고위 관계자는 31일 “지금 일본이 보여주는 태도가 지속된다면 김성환 장관의 유엔 총회 연설에서 위안부 문제가 어떤 식으로든 언급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며 “일본이라는 나라 이름을 직접 지칭하지는 않더라도 누구라도 그렇게 알아들을 수 있게 얘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 정부 대표가 유엔 총회의 기조연설에서 위안부 문제를 언급한 적은 아직 없다. 지난해 유엔 총회에는 이명박 대통령이 참석해 연설했지만 위안부 문제를 언급하지는 않았다.

이에 대해 외교부 당국자는 “31일 현재까지 김성환 장관이 유엔 총회 기조연설에서 위안부 문제를 제기한다는 방침이 결정된 바는 없다”고 말했다.

정부는 또 10월 열리는 유엔 총회 제3위원회의 여성지위향상 의제 토의에 정부 대표가 참석해 위안부 문제를 제기할 것으로 보인다. 사회·인도주의·문화 위원회로도 불리는 제3위원회에서는 지난해에도 신동익 주 유엔대표부 차석대사가 “한국 정부는 위안부 문제가 전쟁 범죄·반인도적 범죄를 구성하며, 아직 양자협약에 의해 해결된 바 없음을 분명히 한다. 일본 정부의 법적 책임은 여전히 남아있다”고 밝히며 일본 측 대표와 설전을 벌인 바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다만 올해 유엔에서 위안부 관련 결의안 통과를 추진할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유엔 결의는 남수단 사태(30년에 걸친 분쟁으로 200만명의 사망자 발생)처럼 현존하는 문제여야 채택이 가능하다”면서 “시간이 촉박하기도 하고, 현실적으로 어려워서 유엔 결의 추진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등 시민단체
들도 유엔 인권위원회의 보편적 정례검토(UPR) 등을 통해 일본이 최근 위안부 문제에 보인 행태를 비판하고 사죄를 촉구할 예정이다. 보편적 정례검토는 4년마다 각 국가별로 인권 상황을 점검하는 기회이다. 일본이 올해 차례에 포함돼 있다. 일본에 대한 보편적 정례검토는 10월31일에 예정돼 있다. 한국도 10월25일 보편적 정례검토를 받는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208311457421&code=91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