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fort women' 대신 'enforced sex slaves' 용어 확산
"클린턴 美국무 '여성인권이슈'로 인식"
(워싱턴=연합뉴스) 이우탁 특파원 = 주로 한국과 일본의 과거사 현안을 다룰 때 핵심 이슈로 등장했던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최근 국제 외교무대에서 다뤄질 일반이슈로 성격이 변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특히 그동안 한일 과거사 문제에 있어 '불개입 입장'을 고수하던 미국 정부가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는 '전시 여성 인권'과 직결되는 사안으로 인식하는 기류가 확연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향후 추이가 주목된다.현지 외교소식통은 9일(현지시간) "지난 3월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 외교장관회담에서 클린턴 미 국무장관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매춘강요(forced prostitution)의 희생자'라거나 '강요된 성노예(enforced sex slaves)'라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면서 "이는 전시 여성인권 이슈로 인식하는 기류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 2007년 7월30일 미국 하원은 '일본군 성노예 결의안'을 본회의에 상정해 만장일치로 통과시킨 바 있다. 당시 톰 랜토스 하원 외교위원장은 "20만 종군 위안부 여성들이 일본 정부에 의해 강제로 끌려가 성 노예를 강요당한 것은 최대의 죄악"이라면서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를 위해서는 위안부 결의안이 만장일치로 통과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위안부 결의안을 발의한 마이크 혼다 의원은 "일본 정부는 지금까지도 2차 세계대전 중에 저지른 10대 어린 여성들의 강제 연행과 성노예, 때로는 살인까지 저질러 놓고서도 인정을 하지 않고 있다"면서 "이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켜 일본 총리의 사과를 촉구하자"고 강조했다. 한국 정부도 한일 과거사 현안에 포함돼있는 위안부 문제의 국제화에 대해 공감대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지난 2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제19차 유엔 인권이사회(UNHRC) 고위급 회의에 참석했던 김봉현 외교통상부 다자외교조정관은 2차 세계대전 당시 군대 위안부 문제와 관련, "이러한 조직적인 강간과 성노예 문제는 인도에 반하는 죄에 해당할 수 있다"며 희생자들을 위한 실효적인 구제조치 및 배상, 가해자에 대한 법의 심판을 촉구했다. 일본을 적시하지 않았지만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있어 한일 양자 차원의 해결과 별도로 국제사회에서도 관심을 가져야할 문제임을 분명히 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 소식통은 "최근 전시 여성인권 문제는 아프리카 내전 상황 등에서 많이 거론되는 현안"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미국 정부의 인식 변화가 한일 양자 문제에 대한 '개입'으로 입장이 선회하는 것은 아니라고 이 소식통은 전했다. 하지만 국제 외교무대를 통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정부의 성의있는 대처를 촉구할 경우 그 파장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lwt@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2012/07/10 05:21 송고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2/07/10/0200000000AKR20120710008900071.HTML?did=1179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