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위안부' 문제 언론 자료 창고/2009~2011

李대통령, 日에 위안부 해결 요구 “직접 결단한 것”(동아)

윤명숙 2011. 12. 19. 08:06

李대통령, 日에 위안부 해결 요구 “직접 결단한 것”

 

이명박 대통령이 18일 한일정상회담에서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일본 총리에게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정치적 결단을 촉구한 것은 `작심 발언'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명박 대통령, 노다 요시히코 일본 총리. 동아일보DB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 대통령이 강력히 위안부 문제를 거론할 것이라고 실무선에서 어느 정도 생각하고 있었지만 이 정도까지 세게 할지는 몰랐다"면서 "대통령이 직접 결단한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이 대통령은 전날 오사카 동포간담회에서부터 위안부 문제를 거론하며 일본 측을 사전 압박했다.

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위안부 문제 해결 없이 일본은 영원히 양국 간 현안을 해결하지 못하는 부담을 갖게 될 것"이라며 "그분들이 살아있는 동안에 이 문제를 해결해주는 게 양국이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열린 만찬에서도 이 대통령은 우리에게 위안부 문제가 왜 그렇게 중요한지, 산적한 한일 간 안보ㆍ경제협력을 위해 이 문제를 시급히 매듭지어야 한다는 설명에 대부분의 시간을 할애했다는 후문이다.

이 대통령은 노다 총리와의 한일 정상회담에서 "한일 양국은 공동번영과 역내 평화ㆍ안보를 위해 진정한 파트너가 돼야 하고 걸림돌인 군 위안부 문제를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데 진정한 용기를 가져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이 대통령은 "이 문제는 짚고 넘어가지 않을 수 없다. 노다 총리의 보다 성의있는 해결책을 기대한다"면서 "그것은 거창한 방법이 아니라 따뜻한 마음에서 기초하는 것"이라며 노다 총리의 정치적 결단을 촉구했다.

이 대통령이 이처럼 일본 측에 위안부 문제 해결을 강한 어조로 요구한 것은 위안부 문제 해결에서 `시간적 유한성(有限性)' 때문이라는 게 청와대 측의 설명이다.

현재 생존해있는 위안부 할머니들이 63명에 불과하고 이들이 모두 80세 이상이어서 더 이상 지연시킬 없는 문제라는 인식이 깊게 투영돼 있다는 분석이다.

이 대통령이 "일생의 한을 갖고 살던 예순세 명의 할머니들이 돌아가시면 양국 간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큰 부담으로 남게 된다"고 밝힌 것도 이 같은 연유에서다.

하지만 이 대통령은 노다 총리가 `인도주의적 차원의 지혜'를 내세우며 원론적 입장을 밝히며 오히려 주한일본대사관 앞에 세워진 `평화비' 철거를 요청하자 상당히 실망한 것으로 전해졌다.

두 정상 사이에서 이 같은 냉랭한 기류는 정상회담을 마친 뒤 교토의 대표적 문화명소인 료안지(龍安寺) 시찰이 당초 예정시간보다 앞당겨져 서둘러 끝난데서도 여실히 드러났다.

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도 노다 총리에게 "앞으로 양국관계에 대해서 노력해달라"고 거듭 당부했다고 한다.

핵심 관계자는 "대통령이 노다 총리와의 료안지 시찰을 전부 다 하지 못한 채 서둘러 귀국길에 올랐다"고 말했다.

한편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번 한일정상회담에서는 위안부 문제를 작심하고 거론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면서 "향후 한일 간 협력의 폭과 깊이를 설정하는데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디지털뉴스팀
http://news.donga.com/Politics/New/3/00/20111218/42697758/1

 

====

 

[한-일 정상회담]뒤통수 친 日… MB압박에 日 우익 의식 발언

외상, 靑수석에 ‘독도 영유권’ 비공식 제기에도
노다는 정상회담뒤 “공식 항의했다” 언론플레이

동아일보 | 입력 2011.12.19 03:21

 

이명박 대통령이 18일 한일 정상회담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요구한 것과 관련해 노다 요시히코 총리가 뒷북 반격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언론에 따르면 이날 정상회담 직후 노다 총리는 자국 언론과 기자회견을 갖고 "17일 밤 겐바 고이치로(玄葉光一郞) 일본 외상이 청와대 외교안보 책임자를 만나 '독도 영유권'을 주장했다"고 말했다. 정상회담이 이 대통령의 압박으로 끝나자 일본 우익을 의식해 '일본 정부도 할 말은 했다'는 메시지를 던진 것으로 해석된다.

청와대는 "대꾸할 가치도 없다"고 반응했다. 한일 정상 만찬이 시작되기 직전 수행원들이 별도의 대기 장소에서 잠시 기다리고 있는데 겐바 외상이 천영우 대통령외교안보수석비서관에게 비공식적으로 말을 걸어온 것을 마치 '회담을 했다'는 식으로 설명한 것 같다는 주장이다.

당시 겐바 외상은 "독도에 한국 정치인이 방문하고 접안시설을 설치하는 것은 유감"이라고 말했고, 우리 당국자는 별다른 대꾸를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한 외교소식통은 "겐바 외상이 맞불작전을 벌일 것이라는 판단 아래 내부조율을 거쳐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국내에 남은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일본 언론은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대체로 문제 제기 사실 전달에 그치면서 양국 관계 강화에 걸림돌이 될 것으로 우려했다. 일부에서는 이 대통령이 국내 정치적인 이유로 위안부 문제를 제기했다고 분석했다.

도쿄=배극인 특파원 bae2150@donga.com
http://media.daum.net/politics/cluster_list.html?clusterid=474487&newsid=20111219032115914&clusternewsid=20111219032115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