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위안부' 문제 언론 자료 창고/2003-2006

[한겨레/진상규명]연인원 800만명 피해…생존자 4만뿐

윤명숙 2004. 12. 14. 09:11

연인원 800만명 피해…생존자 4만뿐
[한겨레 2004-10-10 17:39]

 

[한겨레] ■ 진상규명 왜 급한가


일제 강점하 강제동원 피해 진상규명위원회가 꾸려지면, 지금까지 학계와 관련 민간단체들이 파악해 온 강제동원의 진상을 국가 차원에서 조사한다. 진상규명위는 노동력, 군인·군무원(군속), 성 동원 등 강제동원 진상을 밝히고, 국외에 흩어져 있는 사망자 유골을 발굴하고 수습·봉환하는 작업을 맡는다.

 

◇ 얼마나, 어디로 끌려갔나=학계에서는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를 줄잡아 연인원 800만명으로 보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군인과 노동자로 끌려갔다. 여기에 성 동원은 빠져 있다. 이 가운데 국가기록원 자료를 포함해 학계에서 확보하고 있는 강제동원 명부는 30여만명분에 그치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지난해 조사한 자료를 보면, 강제동원 피해자 가운데 4만여명이 생존해 있다. 그러나 피해자 대부분이 70대 이상으로 1년에 1만5천명은 사망하는 것으로 추정돼 생존 피해자는 날마다 줄어들고 있다.

 

강제동원된 조선인은 한반도를 비롯해 일제가 군수공장과 농장, 토목공사장, 광산 등을 운영하던 일본, 중국 하이난섬(해남도), 사할린, 남양군도 등으로 끌려갔다. 학계에서는 일본으로 끌려간 조선인만 85만여명으로 보고 있다.

 

대부분 70대 이상 고령‥매년 1만5천명 사망

국외 흩어진 사망자 유해등 실태파악도 안돼


◇ 노동력 동원=1938년부터 1945년까지 모집, 관 알선, 강제징용 등의 방식으로 동원된 조선인은 국내만 연인원 최소 600만명으로 추정된다. 일제는 근로보국대, 근로정신대, 농촌근로보국대, 학생근로보국대의 형태로 조선인을 끌어모아 국내와 국외를 가리지 않고 노동력이 필요한 곳으로 보냈다. 시기별로 각 동원의 주체와 동원 절차, 노동력 배치, 노동환경 등 구체적 실상은 드러나지 않고 있다.

 

◇ 병력·준병력 동원=1938년부터 지원병 형식으로 군인을 모집하던 일제는 1944년부터 징병제를 실시해 만 20살 이상 젊은이들을 모두 징병 대상에 포함시켰다. 군인뿐 아니라 일본군에 필요한 노무 인력을 보충하려고 농경대, 근무대 등 형태로 조선인 군무원을 끌어모으기도 했다. 학계와 조사단체에서는 군인과 군무원을 합해 61만여명이 징집된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 성 동원=여성 성 동원 피해자는 연인원 20여만명으로 추정된다. 현재 정부에 신고된 군 위안부 피해자는 200여명에 그치고 있고, 이 가운데 생존자는 147명이다. 여기에 일제가 조선인 노무자들의 생산성을 높이고 이탈을 막으려고 조선 여성들을 강제 징집한 ‘산업 위안부’의 존재도 뒤늦게 알려지기 시작했다.

윤명숙 박사는 “피해자 발굴과 증언 확보 등 산업 위안소의 진상에 관해서는 아직 학계에서조차 조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일제 성 동원의 진상을 밝히려면 군 위안부와 함께 산업 위안부에 관해서도 체계적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 유해 문제=국외로 끌려간 조선인 가운데 30만명이 해방 뒤에도 귀국하지 못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사망자 가운데 유해가 국내로 돌아온 경우는 극히 드물다. 5만여구는 일본 납골당이나 절에 보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고, 나머지는 일본을 비롯해 중국, 사할린 등 곳곳에 흩어져 있다.

 

최봉태 변호사는 “침략전쟁을 일으킨 일본은 1952년부터 지금까지 국가 예산을 들여 300차례가 넘게 국내와 국외에 있는 자국민의 유골을 찾아 봉환하고 있지만 한국 정부는 지금껏 유해조사조차 하지 않고 있었다”며 “국외에 흩어져 있는 유해를 발굴하고 수습·봉환하는 작업은 진상규명위원회의 주요 활동 가운데 하나”라고 말했다.

 

그러나 피해자 단체와 학계에서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귀환문제와 원폭 피해 조사도 함께 다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지만, 현재 진상규명위원회 조사 범위에는 빠져 있다.

 

대구/박주희 기자 ⓒ 한겨레(http://www.hani.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